컨텐츠바로가기
팝업 닫기
한옥 등록 및 지원 안내 한옥 등록 및
지원 안내
한옥 지원센터 한옥 지원센터 체험신청 체험신청 한옥공간대관 한옥공간대관 도보지도 도보지도
서울한옥의 새로운 상상 공모 설명회 콜로키움
서촌라운지 전시 안내
2025 서울한옥위크 안내 배너
북촌한옥청 하반기 전시대관 모집
공공한옥해설 화-금| 한국어 10:30, 영어 13:30, 한/영 15:00, 토-일|한/영 14:00 고즈넉한 서울공공한옥에서 북촌의 역사와 한옥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는 시간
계동마님 찾고 보물찾고 매주 토요일 10:30~11:10 계동마님댁의 사연과 일상을 알아보고, 오늘날 우리에게 남은 소중한 유산을 되돌아보는 시간
서울한옥포털
[배렴가옥]-일일서재 Part.2
접수 2025-10-28 ~ 2025-12-24
이용 2025-11-07 ~ 2025-12-26
배렴가옥
체험
[해설] 공공한옥해설 (영어) Hanok Guide Program IN ENGLISH
접수 2025-01-01 ~ 2025-12-31
이용 2025-01-01 ~ 2025-12-31
북촌문화센터
해설
[신청취소] 한옥정책 알림서비스
접수 2023-05-25 ~ 2027-12-31
이용 2023-05-25 ~ 2027-12-31
한옥정책과
알림서비스
[신청] 한옥정책 알림서비스
접수 2023-05-25 ~ 2027-12-31
이용 2023-05-25 ~ 2027-12-31
한옥정책과
알림서비스
[주말 특별해설] 한옥의 아침
접수 2025-03-01 ~ 2025-12-31
이용 2025-03-01 ~ 2025-12-31
북촌문화센터
해설
[주말 특별해설] 계동마님 찾고 보물찾고
접수 2025-03-01 ~ 2025-12-31
이용 2025-03-01 ~ 2025-12-31
북촌문화센터
해설
[강좌] 북촌문화센터 북촌문화강좌
접수 2023-01-01 ~ 2025-12-31
이용 2023-01-01 ~ 2025-12-31
북촌문화센터
강좌
[해설] 공공한옥해설 (한국어)
접수 2025-01-01 ~ 2025-12-31
이용 2025-01-01 ~ 2025-12-31
북촌문화센터
해설
체험 신청 공공한옥에서 누리는 다양한 문화체험
펼쳐보기
[배렴가옥]-일일서재 Part.2
접수 2025-10-28 ~ 2025-12-24 이용 2025-11-07 ~ 2025-12-26
배렴가옥
체험
[해설] 공공한옥해설 (영어) Hanok Guide Program IN ENGLISH
접수 2025-01-01 ~ 2025-12-31 이용 2025-01-01 ~ 2025-12-31
북촌문화센터
해설
[신청취소] 한옥정책 알림서비스
접수 2023-05-25 ~ 2027-12-31 이용 2023-05-25 ~ 2027-12-31
한옥정책과
알림서비스
[신청] 한옥정책 알림서비스
접수 2023-05-25 ~ 2027-12-31 이용 2023-05-25 ~ 2027-12-31
한옥정책과
알림서비스
[주말 특별해설] 한옥의 아침
접수 2025-03-01 ~ 2025-12-31 이용 2025-03-01 ~ 2025-12-31
북촌문화센터
해설
[주말 특별해설] 계동마님 찾고 보물찾고
접수 2025-03-01 ~ 2025-12-31 이용 2025-03-01 ~ 2025-12-31
북촌문화센터
해설
[강좌] 북촌문화센터 북촌문화강좌
접수 2023-01-01 ~ 2025-12-31 이용 2023-01-01 ~ 2025-12-31
북촌문화센터
강좌
[해설] 공공한옥해설 (한국어)
접수 2025-01-01 ~ 2025-12-31 이용 2025-01-01 ~ 2025-12-31
북촌문화센터
해설
서울 공공한옥 서울한옥 여행의 출발점
펼쳐보기
금박공방 금박연
#공공한옥
은평한옥마을 어울림터
#공공한옥
전통발효공방 '빚담'
#공공한옥
서촌 라운지
#공공한옥
북촌문화센터
#공공한옥
전통홍염공방
#공공한옥
필운동 홍건익 가옥
#공공한옥
색실문양누비공방
#공공한옥
계동 배렴 가옥
#공공한옥
동림매듭공방
#공공한옥
옥인육아어울림센터
#공공한옥
북촌빈관
#공공한옥
서촌 스테이
#공공한옥
북촌 라운지
#공공한옥
직물놀이공방
#공공한옥
서촌 마을관리소
#공공한옥
한옥지원센터
#공공한옥
북촌 한옥청
#공공한옥
북촌전통공예체험관
#공공한옥
공공한옥 놀이터
#공공한옥
목공예공방
#공공한옥
서울 우수한옥 서울한옥의 멋과 아름다움
펼쳐보기
채연당
채연당은 대청을 중심으로 좌측의 사랑과 우측의 안방 영역을 분리함으로써 단일 건물임에도 별채로 구분한 듯 전통건축 배치를 반영했다.
자세히보기
가회동 한옥
가회동 한옥은 차경을 통해 시야와 공간의 확장을 유도하는 등 주변 경관을 잘 파악하고 경사도를 최대한 이용해 최적의 배치를 도출하였다.
자세히보기
청향재
청향재는 목재 결구의 세심함이 돋보이는 한옥으로, 도로쪽에 가게를 두고 안쪽에 주거공간을 자연스럽게 배치한 아이디어가 좋은 집이다.
자세히보기
옥인동 한옥
정성이 깃든 물건은 투박하고 서툴러도 깊이있다. 그런 면에서 옥인동 한옥은 공간의 이해나 구조를 달리 자랑할 이유가 없을 듯 하다.
자세히보기
상상헌
상상헌은 보와 서까래, 창호와 선반, 담장과 대문 등 크고 작은 부위의 처리에 있어서 과하지 않고 조화롭고 단정한 솜씨를 보여준다.
자세히보기
평산재
평산재는 ’80년대 등장한 전통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유쾌한 건축 취향이 드러나, 당시 시대 상황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자세히보기
취운정
기존 한옥을 게스트하우스로 수선하는 작업을 거쳐 만들어진 취운정은 밀집된 한옥지역에서도 고즈넉한 정취를 즐기며 머물 수 있는 곳이다.
자세히보기
정다운집
정다운집의 소박한 문간채는 보는 사람과 방문객에게 편안함을 주며, 정다운집 현판에서 보여지듯이 정겨움이 느껴지는 한옥이다.
자세히보기
진관동 한옥
진관동 한옥은 눈에 띄는 현대적 변형이나 복잡한 건축적 장치 없이 좋은 재료로 솜씨 좋게 마감하여 전통의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자세히보기
시은재
시은재는 대청 종도리의 정묘년(丁卯年) 건축이라는 상량문과 주택에 사용된 기법, 형식을 고려할 때, 1867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세히보기
리수갤러리
리수갤러리는 미술 전시공간일 뿐 아니라, 그 자체가 작품이 되기도 하여 미술관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해 주고 있다.
자세히보기
선음재
선음재 건축주는 건물 리모델링 시 집의 정취를 지키고 쌓아온 시간을 존중하여, 기존 부재들을 되도록 많이 살리려고 노력했다고 한다.
자세히보기
채효당
채효당은 내외부의 각종 수납공간을 목구조의 골격 사이 공간에 집어넣는 등 세부의 공간 활용기법이 두드러지는 지은 솜씨 좋은 집이다.
자세히보기
누하동 한옥
누하동 한옥의 대문을 열고 들어가면 보이는 지붕선이 만들어내는 작은 하늘은 나무, 구운 흙과 대비되어 더 푸르게 다가온다.
자세히보기
예안재
예안재는 옹색해지기 쉬운 한옥의 공간 분리를 건축주와 건축가가 함께 고민하며 해결해 나간 과정이 집 곳곳에서 느껴진다.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