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바로가기
팝업 닫기
팝업 닫기
이용불편 신고하기
-
-
*연락 가능한 번호(필수)
*문제점 및 현황 자유롭게 기재
*문의 내용은 담당자의 확인 후 개선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용불편 신고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옥자료

한옥자료

>

한옥자료

>

한옥이란?

>

한옥의 구조

한옥이란?

한옥의 구조

한옥의 기본 구조
한옥 내부 뼈대 도면 – 용마루, 부고, 착고, 마루적심, 종도리, 종도리받침장여, 뜬창방, 대공, 평고대, 서까래, 종보, 대들보, 단연, 중도리, 장연, 주심도리, 상인방, 문설주, 기둥, 중방, 하방, 머름, 벽돌벽, 기단, 마루널, 장귀틀, 동귀틀로 구성 한옥의 뼈대(출처 : 알기쉬운 한옥 수선(신축)길잡이)
한옥의 구조를 살펴보면 한옥은 나무를 다듬어서 기둥을 세우고 보를 걸고, 그 위에 소로와 첨차, 도리와 서까래를 짜 맞추는 구조체제를 갖는다. 이러한 기본적인 골격으로 이루어진 한옥은 지방에 따라, 상류와 민가에 따라, 또한 사용 기능에 따라 구조를 달리한다. 예를 들어, 북부지방에서 는 외부의 냉기를 막고, 내부의 열을 유지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구조로, 방을 두 줄로 배열하는 형태의 겹집 구조와 낮은 지붕의 한옥이 발달했 다. 이에 비하여 남부 지방에서는 바람이 잘 통하도록 방을 한 줄로 배열하는 홑집 구조와 마루 구조가 발달했다. 또한, 대가족이 함께 어우러져 사 는 한국의 전통사회에서 상류 계층의 주택은 신분과 남녀(男女), 장유(長幼)를 구별한 공간 배치구조를 하였다. 즉, 집채를 달리하거나 작은 담장 을 세워 주거 공간을 상·중·하로 구획했던 것이다. 그러나 일반 서민들은 집을 지을 때도 구조에서부터 재료에 이르기까지 장식적인 면보다는 기능 적인 면을 더 중시했다.(전봉희, 「한옥의 역사와 미래전망」, 『우리집은 한옥이다』, 내셔날트러스트, 2007, pp. 19~24.)
한옥의 형태
지방별 한옥 구조 평면도 – 북부지방 ‘ㅁ’자, 중부지방 ‘ㄷ’자, 남부지방 ‘ㅡ’자 지방별 한옥 구조
대표적인 한옥의 구조로는 ‘ㄷ’자, ‘ㅁ’자, ‘ㄱ’자 ‘一’자를 들 수 있는데,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ㄷ’자 한옥은 건물의 중심부에 거실(마루)과 부엌을 두고, 양 날개부분에 각 방을 배치함으로써 밸런스를 추구하는 한편, 정면으로 보이는 양 날개 부분 끝을 박공 혹은 팔작지붕으로 마감하는 것이 특징이다.(윤장섭, 『한국건축사』, 동명사, 1975, pp. 41~43.)
‘ㅁ’자 한옥은 추운 바람을 막고 집안의 온기를 간직할 수 있는 형태로, 겨울이 춥고 긴 북부지방에서 주로 나타나는 형태이다. ‘ㅁ’자 한옥은 사각형 모양으로 단절된 부분 없이 연결되어 있어 기본적으로 ‘ㄷ’자 한옥이나 ‘ㄱ’자 한옥에 비해 평수가 넓다. 각 방과 방 사이에 거실(마루)을 잇고, 거실 가장자리 혹은 방과 방 사이 한 켠에 부엌을 배치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윤장섭, 『한국건축사』, 동명사, 1975, pp. 51~55.) ‘ㄱ’자 한옥은 두 채의 ‘ㅡ’자 한옥을 수직으로 연결해 놓은 듯 간결하고 깔끔하며, 이에 따라 넓은 마당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ㅁ’ 자 한옥의 절반 크기에 해당하는 형태인 만큼, ‘ㅁ’자 한옥에 비해 내부 공간을 많이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ㄱ’자의 각 끝부분에 방을 두고 두 ‘ㅡ’자가 만나는 공간에 거실(마루)과 부엌을 두어 동선을 최소화하는 것이 일반적인 배치라 할 수 있다.
(윤장섭, 『한국건축사』, 동명사, 1975, pp.64~68.)

‘一’자 한옥의 경우, 방들과 거실(마루), 부엌이 ‘一’자 한 채에 둔 구조이므로 거실 공간은 상당히 한정적이며, 부엌과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 이다. 그 대신 벽면에는 창문과 방문을 무수히 냄으로써, 햇빛을 보다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경우가 많다. 사방이 트여 모든 방향에서 햇빛 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방향성(남향, 북향 등의 여부)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는다.
(윤장섭, 『한국건축사』, 동명사, 1975, pp.69~73.)
ㄱ자 ㅁ자 ㄷ자형 한옥 한옥의 뼈대(출처 : 알기쉬운 한옥 수선(신축)길잡이
한옥은 기본적인 구조 안에서 지역에 따라 사는 사람에 따라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여준다. 한옥은 시대에 따라, 생활의 변화에 따라, 기능의 변화에 따라 진화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정책 용어로 ‘신한옥’이 정의되면서 한옥의 현대화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보통 신한옥은 한국의 전통적인 목구조 방식과 외관을 기본으로 하되, 복합적인 구조방식과 혁신적인 시공방식, 성능이 향상된 재료 등으로 구축된 건물로 정의되는데, 이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현재까지 한옥의 정의는 다양한 관점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한옥과 관련된 새로운 개념과 용어들도 생겨나고 있다. 한옥은 정확하게 ‘양옥’에 대응 하는 말로 정의된 것이고, 양옥과는 다른 전통 건축을 가리키기 위해 생겨난 말이다. 한옥을 하나의 정의로 규정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우리의 전통건축과 주거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하여 ‘한옥’의 정의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참고문헌
전봉희·이강민, 「한옥의 정의와 범위」, 한옥정책BRIEF 제2호,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터, 2011.11.
페이스북 공유 보내기 - 새창열림 네이버블로그 공유 보내기 - 팝업열림 카카오톡 공유 보내기 - 새창열림 트위터 공유 보내기 - 새창열림 URL 복사 이미지 프린트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