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바로가기
팝업 닫기
팝업 닫기
이용불편 신고하기
-
-
*연락 가능한 번호(필수)
*문제점 및 현황 자유롭게 기재
개인 정보
개인정보처리방침안내 (확인 필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해주세요. 동의한 사람에 한해 이용불편 신고가 진행됩니다.

1. 수집 목적 : 이용불편 신고 진행 및 연락
2. 수집 항목 : 성명, 연락처
3. 보유 및 이용기간 : 입력일로부터 3년까지
*문의 내용은 담당자의 확인 후 개선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용불편 신고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옥자료

한옥자료
한옥자료 공지사항

공지사항

북촌도락 2월 <정월 대보름의 '안연무양'> 행사 안내

조회수 : 1900
등록일 : 2025-01-30
페이스북 공유 보내기 - 새창열림 네이버블로그 공유 보내기 - 팝업열림 카카오톡 공유 보내기 - 새창열림 트위터 공유 보내기 - 새창열림 URL 복사 이미지
북촌도락 2월 <정월 대보름의 '안연무양'> 행사 안내

북촌을 다시 깨닫고, 흥미롭게 여기며, 즐거움에 빠지다
안연무양
安然無養

곧 돌아올 새봄의 따스함과
한해 평안을 기대하며
모두의 안녕을 바라는

정월 대보름의 북촌도락

02/08(토) 02/15(수) 10:00-16:00
02/12(수) 10:00-19:00

| 프로그램 구성 2/8(토), 2/15(토)
내용 | 운영시간 | 진행·협력 | 인원
무탈(無?) 展 | 10:00 ~ 16:00 | 신정철(북촌목공예공방) | -
세화(歲畵) : 처용 목판화 찍기 | 10:00 ~ 16:00 | - | 50명
도간(稻竿) : 벼가릿대 세우기 | 10:00 ~ 16:00 | - | 100명
도액(度厄) : 설위설경 오리기 | 10:00 ~ 16:00 | - | 100명
정월채비(正月差備) : 한옥의 정월 풍습 | 10:30 ~ 11:30 | 조승현, 김성선 해설사 | 10명 (회차별10명)
정월절식(正月節食) : 볏섬만두 빚기 | 10:00 ~ 11:30, 12:30 ~14:00 | 한도경 | 40명(회차별 10명)
옥춘당(玉春糖) : 동전지갑 만들기 | 10:30 ~ 12:30, 13:30 ~ 15:30 | 이성주 강사(지우) | 32명(회차별 8명)
전별연(餞別宴) | 14:00 ~ 15:30 | 송경호, 종로풍류악회 | 20명(회차별 10명)
민속놀이 (윷놀이 / 공기놀이, 투호놀이) | 10:00~16:00 | - | -

2/12(수)
내용 | 운영시간 | 진행·협력 | 인원
무탈(無?) 展 | 10:00 ~ 16:00 | 신정철(북촌목공예공방) | -
세화(歲畵) : 처용 목판화 찍기 | 10:00 ~ 19:00 | - | 50명
도간(稻竿) : 벼가릿대 세우기 | 10:00 ~ 19:00 | - | 100명
도액(度厄) : 설위설경 오리기 | 10:00 ~ 19:00 | - | 100명
이명주와 부럼 나눔 | 13:30 ~ 14:00 | - | 100명
민속놀이 (윷놀이 / 공기놀이, 투호놀이) | 10:00~19:00 | - | -
북촌도락 2월 <정월 대보름의 '안연무양'> 행사 안내
| 무탈(無?) 展
북촌목공예공방 신정철 장인이 만든 나무 탈을 통해 우리 삶 곳곳에 스며든 해학과 희로애락의 감성을 느끼며 2025년의 무탈을 기원한다. 정월 대보름, 휘영청 뜬 보름달 아래 펼쳐진 흥겨운 탈춤은 단순한 놀이를 넘어 농경문화 속 풍요를 빌던 우리 민족의 역사와 정신을 담은 중요한 의례 중 하나였다. 한국 각지에 전해 내려오는 다양한 탈, 그 안에 담긴 정월 명절과 관련된 신앙, 예술, 전통 생활상의 가치를 되새겨 보는 전시
▶ 진행·협력 : 신정철(북촌목공예공방)
▶ 일시 : 2/8(토)~2/23(일)

| 세화(歲畵) : 처용 목판화 찍기
세화는 새해를 송축하는 의미로 주고받던 그림으로 길상적 내용의 주제를 주로 다뤘다. 재앙을 막기 위해 문에 그림이나 글씨를 써 붙였던 벽사진경(僻邪進慶)의 의미를 담아 역신을 막아준다는 '처용'의 얼굴을 목판화로 찍어 나누며 한해 내내 건강하길 바라는 체험
▶ 일시 : 2/8(토), 2/15(토) 10:00~16:00 / 2/12(수) 10:00~19:00

| 도간(稻竿) : 벼가릿대 세우기
정월 대보름에 세우는 볏가릿대는 풍요를 기원하는 대표 적인 세시 풍속이다. 짚이나 헝겊으로 만든 볏가릿대에 벼, 보리 등 곡식을 매달고 장대를 세워 풍년을 기원했다. 계동마님댁 앞에 세워진 볏가릿대와 새끼줄에 성업을 바라는 간절한 마음으로 소원지를 작성해 엮는 체험
▶ 일시 : 2/8(토), 2/15(토) 10:00~16:00 / 2/12(수) 10:00~19:00

| 정월채비(正月差備) : 한옥의 정월 풍습
새해의 첫 달인 정월. 복토 훔치기, 야광귀 쫓기 등 정월 집안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풍속들을 경험하며, 다가오는 날들을 무사하게 보내기 위해 채비하는 시간
▶ 진행·협력 : 상주해설사
▶ 일시 : 2/8(토), 2/15(토) 10:30~11:30
▶ 대상 : 정월 풍습과 한옥 해설에 관심 있는 만 9세 이상 방문객 20명 (회차별 10명, 사전 예약)

| 정월절식(正月節食) : 볏섬만두 빚기
볏섬만두는 정월대보름 아침에 복이나 재물을 기원하며 만들어 먹던 남부 향토 음식으로, '볏섬'은 벼 가마니를 의미한다. 명절 아침 가족, 친지들이 모여 앉아 서로의 안부를 물으며 시래기, 고사리, 게걸무 등을 버무려 만두 속을 채워 다채로운 빛깔만큼 다양한 복이 들어오길 염원해 본다.
▶ 진행·협력 : 한도경 강사
▶ 일시 : 2/8(토), 2/15(토) 10:00~13:00, 12:30~14:00
▶ 대상 : 정월 음식에 관심 있는 방문객 40명 (회차별 10명, 일부 사전 예약, 만 6세 이하 보호자 동반)


북촌도락 2월 <정월 대보름의 '안연무양'> 행사 안내
| 옥춘당(玉春糖) : 동전 지갑 만들기
옥춘(玉春)은 아름다운 구슬과 봄이라는 뜻으로, 동글납작한 모양에 여러 빛깔로 장식한 화사한 봄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사탕이다. 정월 대보름을 맞이해 다가오는 봄을 기다리며 큰 보름달처럼 예쁜 옥춘 모양의 동전 지갑을 만들어보는 체험
▶ 진행·협력 : 이성주 (지우)
▶ 일시 : 2/8(토), 2/15(토) 10:00~13:00, 12:30~14:00
▶ 대상 : 옥춘과 바느지에 관심 있는 만 9세 이상 방문객 32명 (회차별 8명, 일부 사전 예약)

| 전별연(餞別宴)
우리 옛 선조들은 길을 떠나는 이에게 노잣돈이나 마음을 담아 시문을 지어 건네고, 술을 나누어 그림을 그리며 기념하던 전별연(餞別宴)이라는 사대부 풍습이 있었다. 북촌문화센터에서는 이번 해의 첫 번째 달을 맞이하여 과거의 해묵은 것들을 잘 보내드리고 새로운 것을 맞이하며 방문객들을 환대하고 계동마님댁의 온정을 나누고자 한다.
▶ 진행·협력 : 송경호, 종로풍류학회
▶ 일시 : 2/8(토), 2/15(토) 14:00~15:30
▶ 대상 : 16세기 선비 문화와 전별연에 관심 있는 방문객 20명 (회차별 10명, 일부 사전 예약, 만 6세 이하 보호자 동반)

| 이명주와 부럼 나눔
정월 대보름의 대표적 풍습인 귀밝이술과 부럼을 나누며 한해 내내 귀가 밝아지고 좋은 소식만 들리길 기원한다.
▶ 일시 : 2/12(수) 13:30~14:00
▶ 대상 : 북촌문화센터 방문객 선착순 100명


| 사전예약 프로그램 접수 |
접수기간 : 2/1(토) ~ 2/5(수) 정원의 3배수 선착순 마감 후 유니파커로 추첨
신청방법 : 서울한옥포털(hanok.seoul.go.kr - 체험신청) 또는 북촌문화센터 인스타그램 프로필 링크를 통해 신청
문의 : 북촌문화센서 02)741-1033

·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이며, 사전 예약 및 현장 접수를 병행하여 운영됩니다.
· 현장 참여 접수는 각 프로그램 시작 시간 15분 전에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모집합니다.
· 행사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서울한옥포털(hanok.seoul.go.kr) 또는 북촌문화센터 SNS를 참고 바랍니다.
· 기상예보에 따라 프로그램이 변동 될 수 있습니다.

'북촌문화센터' 검색

문화다움 DaumSociety
북촌도락 2월 <정월 대보름의 '안연무양'> 행사 안내 이미지
첨부파일
cc-by-nc-nd
페이스북 공유 보내기 - 새창열림 네이버블로그 공유 보내기 - 팝업열림 카카오톡 공유 보내기 - 새창열림 트위터 공유 보내기 - 새창열림 URL 복사 이미지 프린트 아이콘